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 Vol. 10, No. 2, pp.68-81
ISSN: 1975-6291 (Print) 2287-396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May 2015
Received 26 Feb 2015 Revised 9 Apr 2015 Accepted 15 Apr 2015
DOI: https://doi.org/10.7746/jkros.2015.10.2.068

회전관절만을 활용하는 병진 3자유도 병렬 메커니즘의 기구학 특성 분석

박재현1 ; 김성목1 ; 김희국
Analysis on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Revolutejoint-based Translational 3-DOF Parallel Mechanisms
Jae-Hyun Park1 ; Sung Mok Kim1 ; Whee Kuk Kim
1Control Instrument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k2potobox@korea.ac.krcil2col@korea.ac.kr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NRF-2013R1A1A4A01007634) (2012R1A1A2042823).
Corresponding Author : Control Instrument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2511 Sejong-ro, Sejong City, 339-770, KOREA wheekuk@korea.ac.kr


© Korea Robotics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wo novel parallel mechanisms (PMs) employing two or three PaPaRR subchains are suggested. Each of those two PMs has translational 3-DOF motion and employs only revolute joints such that they could be adequate for haptic devices requiring minimal frictions. The position analyses of those two PMs are conducted. The mobility analysis, the kinematic modeling, and singularity analysis of each of two PMs are performed employing the screw theory. Then through optimal kinematic design, each of two PMs has excellent kinemat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useful workspace size adequate for haptic applications. In particular, by applying an additional redundantly actuated joint to the 2-PaPaRR type PM which has a closed-form position solution, it is shown that all of its parallel singularities within reachable workspace are completely removed and that its kinematic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Keywords:

Parallel Mechanism, Closed-form Position Solution, Kinematic Analysis, Redundant Actuation, Haptic Device

1. 서 론

병렬 메커니즘은 다수의 부속체인을 활용함으로써 높은 정밀도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벼운 유동 링크 를 활용함과 동시에 구동 엑츄에이터를 지면에 배치하게 되면 낮은 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중력 효과 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응용분야로 그 활용이 확대되어 오고 있다. 특히, 회전관절만을 사용하는 병렬 메커니즘은 상대적으로 적은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 점이 있어 햅틱기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낮은 관성 및 중력효과, 적은 마찰력, 그리 고 이 밖의 우수한 햅틱기기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구조로서 회전관절만을 사용하는 3 − PaPaRR 형 병진 3-자 유도 병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그 위치해석, 특이형상 분 석 및 속도 기구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병렬 메커니즘의 정위치 해석에 있어 수치 해석에 의존하는 경우 그 해는 근사해 일 뿐 만 아니라 특 히, 특이형상 부근에서는 수치해석 오차의 크기가 심하게 나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부근의 작업공간의 유용 성이 심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의 경우 정위치 해석해가 존재하지 않은 단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이 없는 메커니즘으로 서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에서 부속체인 하나를 제 거하여 얻어진 두 개 만의 부속체인으로 이루어진 정위치 해석해를 가지는 2 −PaPaRR 형 병진 3-자유도 병렬 메커 니즘을 제시하고 이 메커니즘에 대한 위치해석, 특이형상 분석 및 속도 기구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메커니즘 의 경우, 각 부속체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관절이 구동관 절로서 활용되며 두 번째 구동관절은 지면으로부터 병렬 전동메커니즘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제시된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의 구조에 대한 간략한 기술 과 모빌리티(자유도) 분석, 역위치 및 정위치 해석, 그리고 기구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3장에서는 제시된 두 번째 2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의 구조에 대한 간략한 기술 과 모빌리티(자유도) 분석, 역위치 및 정위치 해석, 그리고 기구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결론을 기술하였다.


2. 3 −PaPaRR형 병렬 메커니즘

2.1. 메커니즘 구조

Fig. 1과 같이 3 −PaPaRR 형 메커니즘은 고정판과 운동 판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3개의 PaPaRR 형 부속체인으 로 구성된다. 각 부속체인은 고정판과 운동판에 대칭성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평행사변형 모듈( Pa ) 2개와 회전 관절( R ) 2개로 이루어져 있다. 평행사변형 모듈은 4 개의 링크와 4개의 회전 관절로 이루어지며 각 모든 회전 관절 축은 모두 고정판에 수직인 방향을 가진다 ( zˆi1zˆi2zˆ for i = 1,2,3 ). 여기서 ""ˆ" "는 단위 벡터를 나타 낸다. 나머지 두 개의 회전관절 축은 고정판에 평행한 방 향으로 서로 평행하다( zˆi3zˆi4 for i= 1,2,3). 3 −PaPaRR 형 메커니즘의 구동 관절은 고정판에 고정된 첫 번째 관 절들 θa = (θ112131) T 로 설정하여 모든 엑츄에이터를 모 두지면에 배치하였다.

Fig. 1.

3 −PaPaRR type PM

메커니즘의 기저 좌표계 xˆb,yˆb,zˆb 와 출력 좌표계 xˆt,yˆt,zˆt 는 각각 고정판과 운동판의 중앙에 위치한다. 각 부속체인의 첫 번째 관절은 고정판의 중심에 위치한 반경 R 인 원상에 xˆb 축으로부터 오프셋 각 γ ib 의 위치에 고정 되며, 운동판에 연결되는 회전관절은 운동판의 반경 r 인 원상에 xˆt 축으로부터 오프셋 각 γ it 의 위치에 고정된다. θ ijlij 는 각각 i 번째 부속체인의 j 번째 회전 관절각 및 링크를 의미 한다.

2.2. 모빌리티 분석

본 논문에서 제시된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과 같 이 모든 부속체인이 동일한 하나의 공통 운동판을 가지는 병렬 메커니즘에 대한 모빌리티(M)는 다음과 같은 Modified Grübler − Kutzbach 의 공식을 활용하여 구할 수 있다[8]:

M=dn-g-1+i=1gfi+υ(1) 

여기서 d(= 6 −λ )는 메커니즘의 모든 관절 스크류(screw) 를 포함하는 스크류 시스템의 차원수, n 는 링크의 수, g 는 지면을 포함한 관절의 수, fi 는 관절의 자유도, 그리고 υλ 는 각각 모든 부속체인에 의해 운동판에 가해지는 독립적인 과다구속렌치(redundant constraints wrench) 수와 독 립적인 공통구속렌치(common constraints wrench) 수를 나타 낸다.

다음은 운동판의 중앙에 고정된 기준(출력) 좌표계에 대 한 각 부속체인의 모든 관절 스크류를 나타낸다.

$i1=0;zˆ×li1,(2) 
$i2=0;zˆ×li2,(3) 
$ˆi3=zˆi3;r-li3×zˆi3,,(4) 
$ˆi4=zˆi3;r×zˆi3(5) 

여기서 zˆi3 다음과 같으며

zˆi3=-sγit,cγit,0(6) 

(2)와 (3)에서와 같이 평행사변형 모듈은 원호를 따라 선형 운동을 가지되 방위각은 변화하지 않는 일반화된 관절 (generalized kinematic pairs)로 표현되었다[9].

한편, 각 부속체인의 모든 관절 스크류 (2)~(5)에 대한 reciprocal screw (즉, 메커니즘의 운동판에 가해지는 구속렌 치)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Sˆilr=0¯;zˆ,Sˆi2r=0¯;zˆi3×zˆ(7) 

(7)로부터 모든 부속체인에 의해 공통으로 메커니즘의 운 동판에 가해지는 공통 구속렌치는 z 축 방향의 infinitepitch wrench(토크) $ˆi1r 한 개임(λ = 1 )을 알 수 있다. 따라 서, 각 부속체인에 속한 관절들의 허용 운동공간 차원수는 전체 운동공간에서 공통 구속렌치 차원 수를 제외함으로 써 즉, d = 6 − λ 와 같이 5임이 확인된다. 그리고 (7)에서 공통구속렌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속렌치는 모두 동일 평 면상의 infinite-pitch wrench(토크)이므로 결과적으로 독립적 인 구속렌치는 두 개이며 따라서 한 개의 과다구속렌치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υ = 1).

이상의 결과를 (1)에 대입 함으로서 메커니즘의 자유도 는 다음과 같이 3임이 확인된다:

M=511-12-1+12+1=3(8) 

여기서 총 링크 수는 운동판과 고정판 그리고 각 부속체 인 링크 3개로 총 11개이며 총 관절 수는 각 부속체인에 4 개씩 총 12개로서 모든 관절이 1자유도를 가진다. 특히, 평 행사변형 모듈의 경우 한 개의 가상링크와 하나의 가상 미끄럼 관절로 단순화된 관절모델로 사용하였다.

2.3 역위치 해석

역위치 해석에서는 출력 변수 위치벡터 u = (x y z) T 가 주어졌을 경우 구동 관절의 변수 벡터 θa = (θ112131) T 를 구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3 −PaPaRR 형 메커니즘의 오프셋 각 γ biγ ti 는 각 부 속체인이 고정판과 운동판 사이에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아래와 같은 값을 갖도록 설정하였다.

γ1b=0°,γ2b=120°,γ3b=240°(9) 
γ1t=0°,γ2t=120°,γ3t=240°(10)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의 역위치 해석은 두 단계 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주어진 출력 위치벡터 값으로부터 각 부속 체인의 세 번째 관절 값( θ i3 )을 구한 후 이로부터 세 번째 관절의 위치 xi yiT ( i = 1,2,3 )를 산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xi yiT 을 이용하여 첫 번째 관절각( θ i1 )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두 번째 관절 각( θ i2 )을 구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2.3.1. 세 번째 관절각( θ i3 )

운동판의 중앙에 위치한 기준 좌표계의 위치 (x, y, z) 는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CiP :

x=xi+l3cθ3+ricγit+π(11) 
y=yi+l3cθ3+risγit+π(12) 
z=l3sθ3(13) 

(13)으로부터 s(θ 3)는 아래와 같이 표현되며

sθ3=zl3(14)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면 θ i3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θi3=Atan2z,l32-z2(15) 
2.3.2. 부속 체인의 세 번째 관절의 위치 벡터

(11)과 (12)로부터 부속체인의 세 번째 관절의 위치 (xi, yi) 는 출력 변수 위치벡터와 세 번째 관절 값 ( θ i3 )으 로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xiyi=x-l3cθ3+ricγit+πy-l3cθ3+risγit+π(16) 

한편, 동일한 부속체인의 세 번째 관절의 위치 벡터 (xi, yi) 는 부속체인의 변수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 된다.

xiyi=R.cγib+li1.cθi1+li2.cθi2R.sγib+li1.sθi1+li2.sθi2(17) 
2.3.3. 첫 번째 관절각( θ i1 )

(17) 를 θ i2 항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i2.cθi2=xi-R.cγib-li1.cθi1li2.sθi2=yi-R.sγib-li1.sθi1(18) 

다시 θ i2 에 대한 항을 제거하기 위하여 (18)의 두 식의 양 변을 제곱하여 그 결과를 더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Acθi1+γib+Bsθi1+γib=C(19) 

여기서

A=2l1xi-Rcγib,(20) 
B=2l1yi-Rsγib(21) 
C=xi-Rcγib2+yi-Rsγib2+l12-l22(22) 

(19)로부터 θ i1 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θi1=Atan2B.A±Atan2A2+B2-C2,C(23) 
2.3.4. 두 번째 관절각( θ i2 )

(18)에 (23)의 결과를 대입한 후 θ i2 에 대해 정리하면 θ i2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θi2=Atan2sθi2,cθi2(24) 

2.4. 정위치 해석

정위치 해석에서는 구동 관절 변수 벡터 θa = (θ112131) T 가 주어졌을 경우 출력 변수 위치벡터 u = (x y z) T 를 구한다. 각 부속체인에 대하여 얻어진 (19)는 입력변수벡터와 출력 위치 벡터와의 관계식을 나타 내며 이 식을 이용하여 정위치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하 지만, 3 −PaPaRR 형 메커니즘의 정위치 해석해는 존재하 지 않으므로 Newton-Raphson기법과 같은 수치 해법을 통 하여 계산할 수 있다.

2.5. 일차 기구학 모델

본 논문에서는 스크류 이론을 이용하여 얻어진 일차 기 구학 모델에 관하여 기술한다. (2)~(5)에 주어진 부속체인의 관절 스크류 중에서 구동관절 스크류를 제외한 나머지 관 절 스크류에 reciprocal 한 렌치는 구동관절에 의해 운동판 에 가해지는 구동렌치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먼저, reciprocal 렌치 $ˆi1r 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고 할 때,

$ˆi1r=sˆi1r;rr×sˆi1r(25) 

다음의 reciprocal 스크류 조건들로부터

$ˆi1r$ˆi2=sˆi1r;rr×sˆi1r0;zˆ×li2=0(26) 
$ˆi1r$ˆi3=sˆi1r;rr×sˆi1rzˆi3;r-li3×zi3=0(27) 
$ˆi1r$ˆi4=Sˆi1r;rr×Sˆi1rzˆi3;r×zˆi3=0(28) 

구하고자 하는 reciprocal 렌치 $ˆi1r 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ˆi1r=Sˆi1r;r×Sˆi1r,(29) 

여기서

Sˆi1rzˆ×li2&Sˆi1rzˆi3×li3(30) 
Sˆi1r=li3×zˆi3×li2×zˆli3×zˆi3×li2×zˆ(31) 

메커니즘의 운동판에 고정된 기준 좌표계의 운동 스크류 ($ p )는 각 부속체인의 관절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jθ.ij$ˆij,fori=1,2,3.(32) 

(32)의 양변에 각 부속체인의 구동관절에 의해 운동판 에 가해지는 렌치 $ i1r 와의 orthogonal product operation 를 아 래와 같이 적용한다.

$ˆi1r$p=$ˆi1rjθ.$ˆij,fori=1,2,3.(33) 

(33)을 행렬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메커니즘에 대 한 일차 기구학 모델이 얻어진다[10]:

Au.=Bθ.a(34) 
u.=x.y.z.T,θ.a=θ11.θ21.θ31.T(35) 
A=$ˆ11r$ˆ21r$ˆ31r,B=$ˆ11r$ˆ11000$ˆ21r$ˆ21000$ˆ31r$ˆ31(36) 
$ˆi1r=$ˆi1r;r×$ˆi1r,$ˆi1r$ˆi1=Sˆi1r.zˆ×lil,fori=1,2,3.(37) 
$ˆi1r=li3×zˆi3×li2×zˆli3×zˆi3×li2×zˆfori=1,2,3.(38) 

A의 역행렬이 존재하는 경우, (34)로부터 정속도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u.=A-1Bθ.a=Jθ.a(39) 

2.6. 병렬 특이형상

3 −PaPaRR 메커니즘의 병렬 특이형상은 (36)의 행렬 A 의 행($ˆi1r , for 1,2,3), 즉, 구동관절에 의해 운동판에 가 해지는 구동렌치를 나타내는 reciprocal 렌치들이 메커니즘 의 출력공간인 병진 3자유도 공간(translational 3-DOF space) 내에서 서로 종속적인가를 확인함으로써 규명할 수 있다. 특히, 본 메커니즘의 경우 구동렌치 및 구속렌치가 모두 zero-pitch렌치 또는 infinite-pitch 렌치의 형태로서 모두 선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GLG(Grassmann Line Geometry)기법을 사용하여 이들 선들의 종속성을 분석함 으로써 특이형상을 규명한다.

Fig. 2(a)와 Fig. 2(b)는 각각 3 −PaPaRR 형 메커니즘이 가 지고 있는 병렬 특이형상이다. Fig. 2(a)의 경우 세 개의 구 동렌치 축(선)이 모두 고정판에 수직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상에서는 세 개의 구동관절에 의해 운동판에 가 해지는 구동렌치는 모두 고정판에 수직한 방향( z 축 방향) 으로의 힘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x − y 평면에 놓인 임 의 축 방향으로의 구동토크는 메커니즘에 가해진 구속렌 치에 의해 발휘되지 못하며, 단지 z 축 방향으로의 힘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메커니즘의 병진 3자유도 출력공 간 중 나머지 두 개의 방향으로는 힘을 제공하지 못한다.

Fig. 2(b)의 경우 세 개의 구동렌치 축(선)이 모두 고정판 에 평행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상에서는 구동관절 에 의해 가해지는 구동렌치는 x − y 평면 위의 힘 만을 전 달할 수 있으므로, z 축 방향의 힘을 제공하지 못한다.

Fig. 2.

Singularity configurations of the 3-PaPaRRtype PM

2.7. 최적설계

병렬 메커니즘이 대칭구조를 가지므로 각 부속체인의 링크길이는 같다고 가정한다: 즉, l1 = li1, l2 = li2, l3 = li3 그리고 l3 = li3 ( i = 1,2,3 ). 따라서, 기구학 설계인자로서는 R, r, l1, l2 그리고 l3 인 총 다섯 개의 인자를 고려해야 하 지만 설계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개의 구 속조건을 추가하였다: 즉, l1 = l2 그리고 R=r+l1+l22+32l3. 특히 두 번째 구속조건은 운동판 의 위치가 (0,0, l3/ 2) 일 때 즉, 작업공간의 중앙에 있을 때, 운동판의 중앙점에서 각 부속체인의 첫 번째 관절의 위치벡터 방향으로 투영된 해당 부속체인에 포함된 두 평 행사변형 링크의 길이가 (l1 + l2) / 2 인 값을 가지도록 하 는 조건으로 작업공간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최대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나머지 세 개의 설계 변수에 대해서는 R 에 대해 정규화 함으로써( R = 1 ) 최종적으로 l1 / Rl3 / R인 두 개의 설계변수로 축소한 후 이들 각각 정규화 된 인자들의 값의 범위(즉, 0 부터 0.5 까지의 범위)내에 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Table 1은 설계인자, 검색범위, 최적설계 검색시 설계인자 분해능, 그리고 추가로 부여된 설계구속조건의 요약이며 Table 2는 작업공간 검색에서 설 정된 격자크기 및 작업공간 검색범위를 나타낸다.

Design parameters and design constraints

Search conditions in workspace simulation

최적 설계 지수로는 전역 기구학 등방성 지수(global kinematic isotropy index) σ GI 와 작업공간 크기 W 를 활용 하였다. σ GI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σGI=σmin/σmaxdWd+Wd+(40) 

여기서 σ minσ max 는 각각 자코비안 행렬의 특이값 (singular value)의 최소와 최대 값을 나타내며, σ min/ σ max 값은 해당 형상에서의 지역 기구학 등방성 지수를 나타낸 다. 그리고 작업공간 크기 W 는 일반적으로 모든 도달 가 능한 공간을 활용하지만 편이상 특히 본 시뮬레이션에서 는 병렬 특이형상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메커니즘의 중앙 에 위치한 영역만을 작업공간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작 업공간의 경계는 병렬 특이형상이나 직렬 특이형상의 형 태로 나타내며 시뮬레이션에서는 자코비안 행렬의 디터미 넌트 (determinant) 값의 부호가 바뀌는 경계로 확인할 수 있다.

Fig. 3(a)와 Fig. 3(b)는 각각 정규화된(즉, 설계인자들의 기 준 값인 고정판의 반경을 단위 값으로 설정한 경우) 두 설 계인자 l1 / Rl3 / R들에 대한 메커니즘의 전역 기구학 등방성 지수 등고선도와 작업공간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 시뮬레이션에서 작업공간의 크기는 작업공간 내 정의된 격자 형태의 교차점(node)의 수로 산출하였으며 전역 기구 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에서는 작업공간 내 에 정의된 모든 격자 교차점에서의 지역 등방성 기구학 지수 값들의 평균치로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작업공간 내 x 축, y 축 그리고 z 축 각 방향으로의 각 설계인자들 에 대한 간격은 0.01 × R 인 값으로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각 격자 셀의 크기는 공통적으로 (0.01 × R)3인 크기를 갖 는다.

Fig. 3.

(a) Global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and (b) workspace size

이들 결과로부터 원하는 메커니즘의 작업공간의 크기와 기구학 등방성 지수 특성을 고려하여 메커니즘의 최적 설 계인자를 설정하였다. Fig. 3에 표시된 기호 와 기호 는 각각 최대 전역 등방성 지수와 최대 작업공간 크기를 나 타낸다. 그림으로부터 l1 / Rl3 / R 가 클수록 작업공간 의 크기는 커지는 경향이 있는 반면 적을수록 전역 등방 성 지수 특성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Fig. 3에서 점선으로 표기된 사선은 운동판의 반경 값을 나 타낸다. 실제 메커니즘의 구현 시 운동판의 반경이 작을 경우 부속체인을 연결하는 회전관절의 설치가 어려운 점 을 고려하여 r = 0.3 R 이며 기호 와 기호 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는 기호 의 위치에 해당하는 인자 값들을 최적 설계인자로서 선정하였으며 그 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

r/R=0.3,l1/R=0.45,l3/R=0.3(41) 

Fig. 4와 Fig. 5의 경우는 선정된 최적인자들의 값 r = 0.3 , l1 = l2 = 0.45 그리고 l3 = 0.3에 해당하는 메커니 즘에 대한 x − y 평면상에서의 기구학 등방성 지수 등고선 도와 메커니즘의 전체 작업공간을 나타낸다. Fig. 4와 Fig. 5 에서 x, y, z 각 축의 단위는 모두 R = 1인 기준 값에 대 해 정규화하였다. Fig. 4에서 바깥 경계 부근에 나타나는 흰 색 영역은 기구학 등방성 지수 값이 매우 낮은 영역으로 서 그 중앙부근에는 특이형상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은 Fig. 5에서 재확인될 수 있다. Fig. 5에서는 도달 가능한 작 업공간을 자코비안의 디터미넌트 값의 부호에 따라 회색 영역과 검은색 영역으로 표기하였으며 따라서, 특이형상 궤적은 회색 영역과 검은색 영역의 경계에 해당된다. 이러 한 결과로부터 본 메커니즘은 작업공간의 크기와 작업공 간의 중앙부근에서 우수한 기구학 등방성 특성, 그리고 작 업공간의 중심으로부터 경계부근까지 비교적 완만하게 감 소하는 추세를 나타내는 전반적인 기구학 등방성 특성을 고려할 때 햅틱기기로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4.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s

Fig. 5.

Workspace plot


3. 2 −PaPaRR형 병렬 메커니즘

3.1. 메커니즘 구조 및 모빌리티 분석

2 −PaPaRR형 메커니즘은 Fig. 6과 같이 고정판과 운동 판 그리고 이들 두 개의 판을 연결하는 2개의 부속체인으 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속체인은 3 −PaPaRR 형 부속 체 인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시된 2 −PaPaRR형 병렬 메커니즘의 자유도는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Fig. 6.

A 2 −PaPaRR type PM

각 부속체인의 관절 스크류는 (2)~(6)과 유사하게 표현되 며 이들 모든 관절 스크류에 대한 reciprocal 스크류(부속체 인에 의해 운동판에 가해지는 구속렌치) 또한 (8)과 유사 한 형태로 표현된다. 그러나, 2 −PaPaRR형 병렬 메커니즘 의 경우 부속체인이 두 개이므로 공통구속렌치는 하나로 동일하지만 나머지 두 개의 구속렌치가 모두 독립적인 렌 치이므로 과다구속렌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λ = 1, d = 6 − λ = 5, 그리고 υ = 0.

한편,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과 마찬가지로 2 −PaPaRR형 메커니즘의 단순화된 관절모델에 대한 링크 수는 총 8개이고 관절은 모두 1자유도로서 총 8개로 표현 된다. 따라서, Modified Grübler − Kutzbach 공식으로부 터[8] 2 −PaPaRR 형 메커니즘의 모빌리티는 다음과 같이 3자유도를 갖는다.

M=dn-g-1+i=1gfi+υ=58-8-1+8+0=3(42) 

그러나, 두 부속체인간의 오프셑 각의 차이가 γ2t - γ1t = 180° 인 경우 공통 구속렌치(λ )는 2개를 가지므 로 메커니즘의 자유도는 다음과 같이 4자유도를 갖는다:

M=6-28-1-8+8+0=4(43) 

본 논문에서는 3자유도를 가지는 경우로 한정하여 γ2t - γ1t = 180° 인 메커니즘에 대한 해석은 제외하였다.

3.2. 정위치 해석

제시된 2 −PaPaRR 형 메커니즘이 비여유 구동이 되는 경우는 모빌리티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 개의 구동관절이 요구되며 그 위치로서는 첫 번째 부속체 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관절, 그리고 두 번째 부속 체인 의 첫 번째 관절을 설정하였다 (θa = (θ111221) T). 따라 서, 본 절에서의 정위치 해석에서는 설정된 구동 관절의 변수 벡터 θa = (θ111221) T 가 주어졌을 경우 출력 변수 위치벡터 u = (x y z) T 를 구한다.

Fig. 7은 2 −PaPaRR 형 메커니즘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출력점 P가 고정판에 투영된 점을 P* , 부속체인의 세 번 째 관절의 위치를 Ci ( xi, yi, 0) , 그리고 부속체인의 두 번 째 관절의 위치를 Ei ( xi*, yi*, 0) 로 각각 정의하였다. 여기 서 C iE i 는 동일한 점에 위치 한다, 그리고 P*와 C i 의 거리를 d i 로 정의 하였으며 d 1d 2 의 거리는 같다.

Fig. 7.

Side view of the upper plate and the link li3 of the 2 −PaPaRR type PM

첫 번째 부속체인에 관련 위치벡터 OC1PC1 는 각 각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x1y1=Rcγ1b+l1cθ11+l2cθ12Rsγ1b+l1sθ11+l2sθ12(44) 
xy=x1-d1cγ1ty1-d1sγ1t(45) 

한편, 두 번째 부속체인의 OE2PE2 는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x2y2=Rcγ2b+l1cθ21Rsγ2b+l1sθ21(46) 
xy=x2+l2cθ22-d1cγ2ty2+l2cθ22-d1sγ2t(47) 

(45)와 (46)을 이용하면 PC1PE2 에 대한 루프 방 정식이 아래와 같이 얻어진다:

x1-x2-d1cγ1t-cγ2t=l2cθ22y1-y2-d1sγ1t-sγ2t=l2Sθ22(48) 

(48)를 각각 제곱하여 더한 후 d 1 에 관하여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ad12+bd1+c=0(49) 

여기서

a=cγ2t-cγ1t2+sγ2t-sγ1t2(50) 
b=2x1-x2cγ2t-cγ1t+2y1-y2sγ2t-sγ1t(51) 
c=x1-x22+y1-y22-l22(52) 

(49)로부터 d 1 는 다음과 같이 얻어 진다.

d1=-b±b2-4ac2a(53) 

한편, Fig. 7(b)으로부터 세 번째 관절과 운동판의 기하 관 계로부터 d 1 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d1=r+l32-z2(54) 

(45)와 (54)로부터 운동판의 위치인 출력 벡터 u = (x y z) T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x=x1-d1cγ1t,y=y1-d1sγ1t,z=l32-d1-r2(55) 

3.3. 역위치 해석

2 −PaPaRR 메커니즘의 역위치 해석은 3 −PaPaRR 메커 니즘의 역위치 해석과 유사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생략한다.

3.4. 일차 기구학 모델

2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의 기구학 모델의 경우도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그 과 정은 생략한다. 최종적인 일차 기구학 모델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Au.=Bθ.a(56) 

여기서

u.=x.y.z.T,θ.a=θ.11θ.21θ.31T(57) 
A=$ˆ11r$ˆ12r$ˆ21r,B=$ˆ11r$ˆ11000$ˆ12r$ˆ12000$ˆ21r$ˆ21(58) 
$ˆi1r=$ˆ11r;r×$ˆi1r,$ˆi1r$ˆi1=$ˆi1r.zˆ×li1,fori=1,2.(59) 
$ˆ12r=$ˆ12r;r×$ˆ12r,$ˆ12r$ˆ12=$ˆ12r.zˆ×l12(60) 
$ˆi1r=li3×zˆi3×li2×zˆli3×zˆi3×li2×zˆ,fori=1,2.(61) 
$ˆ12r=li3×zˆ13×l11×zˆl13×zˆ13×l11×zˆ(62) 

A의 역행렬이 존재하는 경우, (56)으로부터 정속도 관계식 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u.=A-1Bθ.a=Jθ.a(63) 

3.5. 병렬특이형상

2 −PaPaRR형 메커니즘의 병렬 특이형상은 (58)의 행렬 A 의 행들인 reciprocal 렌치 $ˆi1r,$ˆ12r , 그리고 $ˆ21r 들이 서로 종속하는 가를 확인함으로써 규명할 수 있다. Fig. 8은 병렬 특이형상을 나타내며 Fig. (a)는 모든 {$ˆi1r,$ˆ12r for i = 1,2 } 가 평행한 경우, Fig. 8(b)$ˆ11r$ˆ12r 축이 놓인 평면에 $ˆ21r 축이 평행할 경우, 그리고 Fig. (c)$ˆ11r축,$ˆ12r 축, 그 리고 $ˆ21r 축이 모두 한 평면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Fig. 8.

Parallel singularities of the 2 −PaPaRR type PM

3.6. 최적설계

2 −PaPaRR 형 메커니즘의 설계인자와 구속조건은 3 −PaPaRR 형 메커니즘과 동일하며 평가지수의 경우도 3 −PaPaRR 형 메커니즘에서 사용된 성능지수와 동일한 전 역 등방성 등방성 지수( σ GI )와 작업공간 크기(W )로 활용 하였다.

최적 설계 인자를 선정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운동판 과 고정판의 오프셑 각 γ itγ ib 의 최적 값을 먼저 선정하 였다. 이를 위해 고정판 반지름을 단위 값으로 ( R = 1 ) 정 규화하여 운동판 반지름은 r = 0.35로, 그리고 모든 링크 길이는 l1 = l2 = l3 = 0.35로 고정하였으며, 두 다리와 운동 판의 오프셑 각의 차(γ2t - γ1t)에 대한 최적의 각을 검색 하였다. 편의상 γ2t = γ2b 그리고 γ1t = γ1b 로 설정하였으 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커니즘의 자유도가 4가 되 는 운동판과 고정판의 오프셑 각들이 각각 0° 와 180° 인 경우는 배제하였다. 검색 결과 운동판과 고정판에 대한 최 적의 오프셑 각의 차는 150° 로 선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γ itγ ib 는 각각 대칭구조를 이루는 15° 와 165° 로 설 정하였다. Fig. 9(a)는 이러한 최적인자 값을 활용한 메커니 즘의 작업공간을 나타내며 Fig. 9(b)는 특히 z = 0.25 일 때에 대한 기구학 등방성 지수 등고선도를 나타낸다.

Fig. 9.

(a) Workspace plot and (b)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with respect to optimal offset angl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base plate

Table 3와 Table 4는 각각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적설계 를 수행하는데 적용한 조건을 나타낸다. 그리고 최적설계 는 3 − PaPaRR 형 메커니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Fig. 10.

(a) Global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and (b) workspace size.

Design parameters and design constraints

Search conditions in workspace simulation

Fig. 10(a)와 Fig. 10(b)는 각각 정규화된 설계인자들에 대 한 메커니즘의 전역 기구학 등방성 지수 등고선도와 작업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며, 특히, 이들 그림에 표시된 기호 와 기호 는 각각 최대 전역 기구학 등방성 지수와 최대 작업공간 크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기호 는 Fig.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호 와 기호 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 는 값들 중에서 전역 등방성 지수와 작업공간크기 그리고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된 최적 설계인자 의 위치를 나타내며 그 값은 다음과 같다.

r/R=0.3,l1/R=0.4,l3/R=0.35(64) 

Fig. 11과 Fig. 12는 각각 고정판이 R = 1일 때, 최적 인자 들의 실제 값이 각각 r = 0.3, l1 = l2 = 0.4 그리고 l3 = 0.35일 때 메커니즘의 작업공간과 기구학 등방성 지 수 등고선도이다. 앞에서 설정한 최적 설계인자를 가지는 병렬 메커니즘에 대해 z = 0.03, 0.09, 0.15, , 0.21 , 0.27 , 그리고 0.33인 경우 각각 x − y 평면상에서의 기구학 등 방성지수 등고선도를 나타낸다. 기구학 특성 분석을 위해 σ I = σ min /σ max 로 정의되는 지역 기구학 등방성 지수 (σ I )가 사용되었다. 여기서 σ minσ max 는 각각 (63)에 서 구한 자코비안 행렬의 최소 특이값과 최대 특이값을 나타낸다. 특히, Fig. 12에서 등방성 지수의 문턱 값으로는 σ th = 0.01 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문턱 값은 그림에서의 작업공간 경계를 나타낸다.

Fig. 11.

Workspace of the optimal 2 −PaPaRR type PM

Fig. 12.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of the optimal 2 −PaPaRR type PM

그림에서 얻어진 작업공간 크기 및 기구학 등방성 특성 으로부터 메커니즘이 어느 정도 유용한 기구학 특성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Fig. 11에서 검은 색 부분 또는 Fig. 12에서 흰색으로 나타나는 좌측 하단 부 분은 메커니즘의 병렬 특이형상으로서 작업공간의 한 부 분의 유용성을 급격히 저하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업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병렬 특이형 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음절에서는 여유구동을 활용하는 경우에 대한 특이형상 및 기구학 특성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더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을 조사 하였다.

3.7. 여유구동으로 인한 병렬 특이형상 제거

Fig. 13은 각 부속체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관절을 구동 관절로 설정하여 총 4개의 구동관절을 가지는 여유구동 2 −PaPaRR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이러한 여유구동 메커 니즘의 일차 기구학 모델은 Br 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Fig. 13.

Redundantly actuated 2 −PaPaRR type PM

θ.ra=Br-1Aru.=Jr-1u.(65) 

여기서

u.=x.y.z.T,θ.ra=θ11.θ12.θ21.θ22.T(66) 
Ar=$ˆ11r$ˆ12r$ˆ21r$ˆ22r,Br=$ˆ11r$ˆ110000$ˆ12r$ˆ120000$ˆ21r$ˆ210000$ˆ22r$ˆ22(67) 
$ˆijr=Sˆijr;r×Sˆijr,$ˆijr$ˆij=Sˆijr.zˆ×lij,fori,j=1,2.(68) 
Sˆi1r=li3×zˆi3×li2×zˆli3×zˆi3×li2×zˆ,fori=1,2.(69) 
Sˆi2r=li3×zˆi3×li1×zˆli3×zˆi3×li1×zˆ,for i=1,2.(70) 

정속도 관계식은 (65)로부터 다음과 같이 얻어질 수 있 다

u.=Jr-1+θ.ra(71) 

여기서 [J -1r]+ 는 유사역행렬(pseudo-inverse matrix)로서 다 음과 같이 표현된다:

Jr-1+=Jr-1TJr-1-1Jr-1T(72) 

Fig. 14와 Fig. 15는 각각 3.6절에서와 동일한 설계인자 를 가지는 병렬 메커니즘에 대해 z = 0.03, 0.09, 0.15, 0.21, 0.27, 그리고 0.33인 경우 각각 x − y 평면상에서의 기구학 등방성지수 등고선도와 전체 작업공간의 크기를 나타낸다. 지역 기구학 등방성 지수에 사용된 특이값 σ minσ max 는 각각 (72)에 나타난 유사 역행렬([J -1r]+ )의 최소 특이값 과 최대 특이값을 나타낸다. Fig. 14와 Fig. 15에서 등방성 지수의 문턱 값으로는 σ th = 0.01 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문턱 값은 그림에서의 작업공간 경계를 나타낸다.

Fig. 14.

Kinematic isotropy index contour plot of the redundantly actuated 2 −PaPaRR type PM

Fig. 12와 Fig. 13에서와 같이 여유구동이 없는 2 −PaPaRR 형 메커니즘의 작업공간 좌측 하단에는 병렬 특이형상이 존재하지만 하나의 여유 구동을 가지는 2 −PaPaRR형 메커니즘의 경우에는 Fig. 15와 같이 작업공 간 내에서는 특이형상이 완전히 제거되어 넓은 유용한 작 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구학 등방성 특성 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5.

Workspace plot of the redundantly actuated 2 −PaPaRR type PM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2개 또는 3개의 PaPaRR 형 부속체인을 가지는 두 가지 형태의 병진 3자유도 병렬 메커니즘을 제 시하고 기구학 분석 및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3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은 정위치 해석해가 존재하지 않지만 우수한 기구학 특성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2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은 3 −PaPaRR 형 병 렬 메커니즘과는 달리 정위치 해석해가 존재하지만 상대 적으로 유용한 작업공간의 크기가 적은 단점이 존재하였 다. 이를 보완 하기 위한 방안으로 2 −PaPaRR형 병렬 메 커니즘이 여유구동을 활용하는 경우 작업공간내에 존재하 는 병렬특이형상이 제거됨으로써 유용한 작업공간의 크기 가 확장될 뿐 만 아니라 기구학 특성도 개선되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제시된 두 가지 형태의 병렬 메커니즘은 모두 햅틱기기로서의 적합한 기구학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2 −PaPaRR 형 병렬 메커니즘은 두 개의 부속체인만을 활용하는 단순한 구조 로서 정위치 해석해가 존재할 뿐 만 아니라 여유구동을 활용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햅틱기기로서의 활용 가능성 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과제로서는 이들 두 메 커니즘의 시작품 제작을 통한 햅틱기기로서의 실용 가능 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References

  • Lee, L,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in-parallel haptic devices",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10).
  • Hwang, YK, Yoon, JW, Ryu, JH, "The optimum design of a 6-dof parallel manipulator with large orientation workspace", (2007),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10-14 April, Rome, Italia, p163-168. [https://doi.org/10.1109/robot.2007.363781]
  • Minh, HV, Uhn, JN, "A new 6-DOF haptic device for teleoperation of 6-DOF serial robots, IEEE Trans. Instrum. Meas, (2011), 60, p3510-3523. [https://doi.org/10.1109/tim.2011.2164285]
  • Lee, LF, Narayanan, MS, Mendel, F, Krovi, VN, "Kinematics Analysis of In-Parallel 5 DOF Haptic Device", IEEE/ASM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IM, (2010), p237-241.
  • Arata, J, Kondo, H, Ikedo, N, Fujimoto, H, "Haptic device using a newly developed redundant parallel mechanism", IEEE Transactions on robotics, (2011), 27(2), p201-214. [https://doi.org/10.1109/tro.2010.2098272]
  • Kim, SM, Kim, WK, Yi, BJ,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a 4-RRPaRR Type Schönflies Motion Generator”,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2011), 6(1), p78-85. [https://doi.org/10.7746/jkros.2011.6.1.078]
  • Kang, BH, Yoon, SM, Lee, MC, Kim, CY, “Development of Low-inertia Master device for Haptic system configuration of surgical robot”,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2012), 7(4), p267-275. [https://doi.org/10.7746/jkros.2012.7.4.267]
  • Dai, JS, Huang, Z, Lipkin, H, "Mobility of overconstrained parallel mechanisms", Transactions of the ASME Journal of Mechanical Design, (2006), 128, p220-229. [https://doi.org/10.1115/1.1901708]
  • Kim, SM, Yi, BJ, Kim, WK, "Forward kinematic singularity avoiding design of a schönflies motion generator by asymmetric attachment of subchai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2013), 11(1), p116-126. [https://doi.org/10.1007/s12555-012-0005-5]
  • Tsai, LW, Robot Analysis the mechanics of serial and parallel manipulators, Wiley Interscience, (1999).

Fig. 1.

Fig. 1.
3 −PaPaRR type PM

Fig. 2.

Fig. 2.
Singularity configurations of the 3-PaPaRRtype PM

Fig. 3.

Fig. 3.
(a) Global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and (b) workspace size

Fig. 4.

Fig. 4.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s

Fig. 5.

Fig. 5.
Workspace plot

Fig. 6.

Fig. 6.
A 2 −PaPaRR type PM

Fig. 7.

Fig. 7.
Side view of the upper plate and the link li3 of the 2 −PaPaRR type PM

Fig. 8.

Fig. 8.
Parallel singularities of the 2 −PaPaRR type PM

Fig. 9.

Fig. 9.
(a) Workspace plot and (b)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with respect to optimal offset angl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base plate

Fig. 10.

Fig. 10.
(a) Global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and (b) workspace size.

Fig. 11.

Fig. 11.
Workspace of the optimal 2 −PaPaRR type PM

Fig. 12.

Fig. 12.
Kinematic isotropy index plot of the optimal 2 −PaPaRR type PM

Fig. 13.

Fig. 13.
Redundantly actuated 2 −PaPaRR type PM

Fig. 14.

Fig. 14.
Kinematic isotropy index contour plot of the redundantly actuated 2 −PaPaRR type PM

Fig. 15.

Fig. 15.
Workspace plot of the redundantly actuated 2 −PaPaRR type PM

Table 1.

Design parameters and design constraints

Design parameters
Search range of the design parameters
Search interval of design parameters
Imposed constraints

Table 2.

Search conditions in workspace simulation

Side of grid interval x = 0.01R, y = 0.01R, z = 0.01R
Search range of workspace R < x < R, v < y < R, 0 < z < R

Table 3.

Design parameters and design constraints

Normalized design parameter
Search range of design parameters
Search Interval of design parameters
Imposed constraints

Table 4.

Search conditions in workspace simulation

Grid interval side x = 0.01R, y = 0.01R, z = 0.01R
Search range of workspace R < x, y < R, 0 < z < R